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2025 자동차 정기검사 총정리(주기, 항목 , 비용, 과태료)

by 돈(money)-사람(people) 2025. 3. 21.
반응형

자동차 정기검사는 차량의 안전성과 배출가스 기준을 점검하여 안전 운행을 보장하기 위해 법적으로 반드시 받아야 하는 차량 검사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검사 주기, 항목, 비용, 절차, 과태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5 자동차 정기검사 총정리(주기, 항목 , 비용, 과태료)

 

1. 자동차 정기검사란?

자동차 정기검사는 차량의 안전성과 배출가스 기준을 점검하여 도로에서의 안전 운행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자동차 소유자는 정해진 기간 내에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자동차 정기검사 주기

자동차 정기검사 주기는 차량 종류와 연식에 따라 다릅니다.

비사업용 승용차 최초 등록 4년 후, 이후 2년마다
사업용 승용차 최초 등록 2년 후, 이후 매년
경·소형 화물차 최초 등록 3년 후, 이후 2년마다
대형 화물차·버스 최초 등록 1년 후, 이후 매년

검사 시기는 차량 등록증에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3. 정기검사 항목

  1. 배출가스 검사
    • 배기가스 배출 기준 충족 여부 점검
    • 매연,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검사
  2. 안전 검사
    • 브레이크, 조향 장치, 등화 장치(전조등, 브레이크등) 점검
    • 타이어 마모 상태 및 공기압 확인
  3. 소음 검사
    • 차량의 소음 수준이 기준을 초과하는지 점검
  4. 기타 항목
    • 차량 구조 변경 여부, 누유 상태 점검

4. 정기검사 비용

정기검사 비용은 차량 종류와 검사소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차량 종류 검사 비용 (예상)
비사업용 승용차 2~3만 원
경·소형 화물차 2.5~3.5만 원
대형 화물차·버스 4~6만 원

※ 검사소마다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정기검사 준비 및 절차

5-1) 검사 예약

  •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사전 예약 가능
  • 민간 자동차 검사소 방문하여 검사 진행 가능

5-2) 필요한 서류 준비

  • 자동차 등록증
  • 자동차 보험 가입 증명서 (필요 시)

5-3) 검사 진행

  • 검사소 방문 후 차량 점검 진행 (약 20~30분 소요)
  • 검사 완료 후 합격 시 검사필증 발급

5-4) 불합격 시 조치

  • 불합격 사유 확인 후 수리 및 재검사 필요
  • 재검사는 일정 기간 내에 추가 비용 없이 가능

6. 정기검사 미이행 시 과태료

정기검사를 기한 내에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경과 기간 과태료
30일 이내 2만 원
31~60일 4만 원
61일 이상 6~30만 원 (최대)

 

7. 마무리

자동차 정기검사는 차량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미리 예약하고 기한 내에 검사를 받으면 불필요한 과태료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소유자는 정기검사 일정을 확인하고, 사전에 점검하여 원활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